- 1946년 영국 문헌에 처음으로 등장해서 알려진 말로, 추상적인 개념이었으나 현대에 와선 사실적인 의미로 변화했다. 데이터의 특성은 2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 존재적 특성 : 객관적인 사실을 의미 - 당위적 특성 : 추론, 예측, 전망, 추정을 위한 근거 데이터의 유형에는 정성적 데이터, 정량적 데이터가 있다. 정성적 데이터는 언어, 문자 등의 형태로 데이터 저장과 분석 등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데이터이고, 정량적 데이터는 수치, 도형, 기호 등의 형태로 정형화된 데이터이므로 비용 소모가 적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자면, 정성적 데이터는 블로그나 트위터, 카카오톡, 문자 등의 데이터라 할 수 있다. 정량적 데이터는 주가지수, 나이, 몸무게, 키 등과 같은 데이터를 말한다. [참고자료] 이..